출처 : findhappy.net


이전글보기-진보와 보수의 본질 1-1. 기초 정보들 -(1)


             진보와 보수의 본질 1-1. 기초 정보들 -(2)


                                     진보와 보수의 본질 1– 2.  동기화된 추론 -(1)







세계관에 대한 이해의 두 번째로, 동·서양의 세계관보다 훨씬 더 강력한


남자여자의 세계관을 소개한다.

 


동·서양의 특성이 나눠진 건 1만년 정도의 시간 밖에 되지 않고, 


그 사이 형성된 세계관의 힘도 약한 축에 속한다.


이걸 역으로 생각해보자.



1만년 정도 된 세계관이 그 정도 힘을 발휘한다면,


300만년 이상 된 세계관은 어느 정도 힘을 가질까? 

(오스트랄로피테쿠스의 출현을 약 300만년전으로 추정)

 

동양과 서양은 대화 도중 오해가 생겨도, 설명을 하면 쉽게 풀린다.


서로의 의도나 인식이 다르다는 걸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남자와 여자는, 아무리 대화를 해도 소통이 안 되는 경우가 많다.


서로 이유를 몰라, 답답하거나 화가 나는 경우를 흔히 겪는다.


이는 오랜 기간 형성된 세계관에 의해 표현 양식이 다르고,


또 그걸 해석하는 코드가 다르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참고로, 동양과 서양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지역이라 이해가 되지만,


남자와 여자는 함께 살아왔는데 왜 다르지? 라는 의문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함께 살아도, 역할분담이 다른 원시생활을 오랬동안 해오면 세계관도 달라진다.


그럼 뭐가 어떻게 다른지 한번 살펴보자.

 

 


 

■ 남자와 여자의 세계관

 

남자는 '대상중심적 사고를 하는 독립형 세계관'을 가지고 있고,


여자는 '자기중심적 사고를 하는 관계형 세계관'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자기중심'은 ‘이기적’이라는 의미가 아닌, ‘사고의 기준’이 자신이라는 뜻이다.

(왜 이런 세계관을 가지게 되었는지는 언젠가 기회가 되면 설명하기로 하자.)



남자의 독립형 세계관은 커다란 세상이 있고, 그 세상과 분리된 세상을 바라보는 '나'가 존재한다.


주변의 다른 사람들도 나처럼 세상과 분리된 존재들이다.



여자의 관계형 세계관은 '내가 세상의 중심'이고, 이런 나를 중심으로 주변인들이 연결되어 있다.


내가 관계하는(인지하는) 사람들까지가 ‘나의 세상’이고, 그 바깥쪽은 ‘나와는 다른 세상’이다.

 

 

남자가 인식하는 세상을 사회전체나 국가, 혹은 인류 전체의 범위라고 한다면,


여자가 인식하는 세상은 나와 내 주변까지다.


그 외는 모두 나와는 다른 세상에 사는 사람이다.


물론 여자도 ‘학습’을 통해 사회나 국가라는 개념을 알고 있지만,


 사고의 밑바탕에 작용하는 세계관적 의미는 아니다.


세계관은 ‘세상을 바라보는 틀'인데, 이때 작용하는 '세상'이라는 개념자체가 다르다는 뜻이다.

 

 

 

각각의 세계관에는 동·서양의 세계관처럼 방향성이 존재한다.


남자는 무언가를 ‘주는’, ‘나아가는’, ‘관심을 주는’ 쪽의 '주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고

,

여자는 무언가를 ‘받는’, ‘받아들이는’, ‘관심을 받는’ 쪽의 '받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방향성이 생긴 이유를 요약하면,


- 남자는 사냥을 위해 세상에 나가야 했다. (나가는 이미지)

- 사냥을 한 후 여자에게 가져다준다. (주는 이미지)

- 종족보전을 위해서는 남자가 여자에게 유전자를 전해줘야 한다. (남자는 주고 – 여자는 받는 이미지)

 

오랫동안 이 패턴에 익숙해져, 남자는 주는 쪽, 여자는 받는 쪽의 이미지가 만들어 졌고,


단순히 유전자나 사냥감을 주고받는 문제를 넘어 인식의 방향으로 고착된 것이다.

 


‘사고의 기준(세상 vs 나)’과 ‘에너지의 흐름(주고 vs 받는)’ 의 차이


대상을 이해(해석)하는 방식과 표현방식이 달라진다.


인식체계(인지구조)가 다르게 발달한 것이다.

 

 

 남자는 사고의 기준을 대상에 두고, 

그 대상에게 관심을 주거나 다가가는 쪽으로 작용하고,


여자는 사고의 기준을 자신에게 두고, 

대상으로부터 관심이나 영향을 받는 쪽으로 작용한다.

 

 

간단한 예를 들어보자.

 

어떤 모임에서 마음에 드는 이성을 만났다.


어떤 생각이 떠오르는가??


남자는 '어떻게 하면, 저 여자에게 다가갈 수 있을까?’를 떠올리고,

여자는 '어떻게 하면, 저 남자가 나를 바라보게 할까?'를 떠올린다.


일부러 그런 생각을 하는 게 아닌, 자동으로


'주는 이미지'와 '받는 이미지'의 영향을 받아 '동기화된 추론'이 일어나는 것이다.

 

또 남녀가 의견충돌이 발생했을 때, 서로 궁금해 하는 양상이 달라진다.


남자는 대상을 중심으로, 대상 자체가 왜 그러는지를 궁금해 한다.

그래서 “당신 대체 왜 그래?” 라고 한다. (주는 이미지의 작용)


여자는 나를 중심으로, 대상이 나에게 왜 이러는지를 궁금해 한다.

그래서 "나한테 대체 왜 이래?" 라고 묻는다. (받는 이미지 작용)



대상 중심적 사고와 자기 중심적 사고의 사례를 살펴보면,


대충 감이 잡히는가?


이걸 좀 더 응용해 보자.


남자와 여자가 차를 타고 달리던 중, 다음과 같은 대화가 오갔다.

 

여자: 커피 마시고 싶지 않아?

남자: 아니 난 괜찮은데?


여자: 흥!

남자: .....?????? (아니 왜 저러지?)


 


함께 있으면 ‘내가 느끼는 걸 너도 느끼니?’ 라는 전제가 깔리므로,


동의를 구하는 쪽의 질문을 한다. 공감해주길(공감 받길) 바라는 것이다.

 

대상 중심적 사고를 하는 남자는 상대의 의향만 묻는 질문을 하므로, 기본적으로 내 의향이 빠져 있다.


그러니 필요할 때만 ‘나’를 추가한다.


예를 들어, '내'가 커피를 마시고 싶다면, '커피 한잔 할 건데, 너도 할래?' 라는 식이다.


- '커피 마시고 싶지 않아? 난 한잔 하고 싶은데..."

- 으아 추워(내 의향), 야 안 춥냐?(상대 의향)",

- 안 덥냐?(상대 의향) 더럽게 덥네.(내 의향).​

 

의 패턴으로 나타난다.


즉, 주체가 '대상'일 때는 생략하고, '나'일 때 정의하는 것이다. 여자와는 반대 패턴이다.

 

이 모두가 세계관의 작용으로 생기는 현상이다.

 

 

 

----------------------------------------------

참고: 인식체계란?

우리는 밖에 있는 대상을 있는 그대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인식체계대로 인식한다.

인식은 대상과 인식체계가 상호 작용하여 자동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이다.

 

인식체계란 대상과 상호 작용하여 인식을 일으키는 내면적 요소의 전체를 가리킨다.

내면적 요소란 자신 내면에 응축되어 있는 태조부터 이 순간까지의

모든 의식적, 무의식적 내용을 일컫는다.

이것은 어디에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아무 대상도 없으면 발현되지 않다가 대상을 만나면

자동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무한한 인식을 만들어낸다.

 

출처: 언어로 이루어는 자기완성 – 배광호. IBG. p97


 

즉, 대상과 인식체계가 만나야 그 대상을 인식하는데, 일종의 해석기라고 봐도 무방하다.

- 대상 + 인식체계 = 대상 인식


고로 인식체계가 다르면, 같은 상황이나 말도 다르게 해석하게 된다.



이어서


다음글보기- 진보와 보수의 본질 1– 4: 보이지 않는 힘: 세계관 2-2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